
노션(Notion)은 강력한 일정 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ar)와 직접적인 연동 기능은 기본 제공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방법을 통해 두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연동하면 일정 관리의 효율성과 시각적 편의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션과 구글 캘린더를 연동하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과 사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iCal 주소로 구글 캘린더 임베드하기 (읽기 전용)
가장 간단한 방법은 구글 캘린더의 공개 iCal 주소를 가져와 노션 페이지에 임베드하는 것입니다.
🔹 설정 방법
- 구글 캘린더 접속 → 좌측 '내 캘린더' 선택
- 설정 > 통합 → ‘공개 iCal 주소’ 복사
- 노션 페이지에서
/embed입력 후,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 - 캘린더가 페이지 안에 표시됨 (읽기 전용)
💡 단점: 일정 수정은 구글 캘린더에서만 가능
2. 외부 자동화 도구 사용 (양방향 또는 단방향 연동)
좀 더 고급 기능을 원한다면 Make(구 Integromat) 또는 Zapier 같은 자동화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활용 예
- 노션에서 일정 생성 시 → 구글 캘린더에 자동 등록
- 구글 캘린더에 일정 생성 시 → 노션 DB에 일정 자동 생성
- 리마인더 시간, 담당자, 태그 설정 등 고급 조건 설정 가능
🔹 사용 절차
- Make 또는 Zapier 계정 생성
- Notion & Google Calendar 연결
- 트리거(Trigger) 및 액션(Action) 설정
- 테스트 후 자동화 시나리오 실행
💡 이 방법은 설정은 조금 복잡하지만 완전 자동화된 일정 연동이 가능합니다.
3. Indify 등 외부 위젯 서비스 활용
Indify, Apption 등의 서비스에서는 노션과 연동 가능한 구글 캘린더 위젯을 제공합니다.
🔹 사용 방법
- Indify 사이트(https://indify.co) 접속
- Google Calendar 위젯 생성 후 구글 계정 연결
- 위젯 코드 복사 → 노션 페이지에
/embed로 붙여넣기
🔹 장점
- 디자인이 깔끔하고 모바일 친화적
- 여러 캘린더 통합 뷰 가능
4. 연동 시 주의사항
- 보안 설정: 구글 캘린더를 공개로 설정해야 embed가 가능
- 연동 범위 제한: 노션은 일부 API 기능 제한으로 완전한 양방향 실시간 연동은 어려움
- 동기화 시간: 자동화 도구는 실시간이 아닌 몇 분~수십 분 간격으로 동기화
마무리
노션과 구글 캘린더의 연동은 완벽하지는 않지만, 위의 방법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일정을 시각적으로 관리하고, 팀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생산성 앱과 노션 통합하는 방법(슬랙, 트렐로 등)을 소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