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션(Notion)의 캘린더 기능은 일정 관리, 프로젝트 계획, 콘텐츠 스케줄링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Google Calendar와 달리,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터, 태그, 정렬 등의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션에서 캘린더를 생성하고, 실무에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립니다.
1. 캘린더 블록 생성 방법
- 새 페이지에서
/calendar입력 Calendar - Full Page또는Calendar - Inline중 선택- Full Page: 독립된 전체 캘린더 페이지 생성
- Inline: 기존 페이지 안에 캘린더 삽입
캘린더는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생성되어, 각 일정이 하나의 페이지로 관리됩니다.
2. 일정 추가 및 기본 속성 설정
캘린더에 일정을 추가하려면 원하는 날짜를 클릭하고 아래 항목들을 입력하세요:
- 제목: 할 일 또는 이벤트 명
- 속성(Property) 추가: 태그, 우선순위, 진행 상태, 담당자 등
- 설명란: 해당 일정에 대한 자세한 메모 작성 가능
- 반복 일정: 수동으로 복사하거나 자동화 툴을 활용
3. 보기(View) 옵션으로 다양한 형태 전환
캘린더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보기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 List View: 일정 항목들을 리스트로 확인
- Board View: 칸반 스타일 일정 관리
- Timeline View: 일정 간 관계를 시각화
- Table View: 속성별 정렬과 분석에 적합
💡 각 뷰(View)는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므로, 원하는 형식으로 자유롭게 전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필터와 정렬 기능으로 일정 관리 최적화
- 필터(Filter): 특정 조건(예: 미완료, 담당자별)으로 일정만 보기
- 정렬(Sort): 날짜순, 우선순위순 등으로 정렬
- 태그(Tag)를 활용한 일정 분류도 매우 유용
이 기능들을 조합하면 수많은 일정 속에서도 필요한 정보만 쉽게 추려볼 수 있습니다.
5. Google Calendar와 연동하기
노션은 기본적으로 Google Calendar와 직접 연동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 iCal 링크로 Google Calendar 삽입 (읽기 전용)
- Make (구 Integromat), Zapier 등의 자동화 툴로 양방향 연동 구현
단순 뷰 삽입 이상의 자동화가 필요한 경우, 외부 연동 툴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노션의 캘린더 기능은 단순한 일정 표시 도구가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와 업무 흐름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노션 데이터베이스 기능 마스터하기를 주제로, 복잡한 정보도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